1 옛날 코딩의 개념과 특징
▶ 기계어 사용
→ 이진수(0,1)로 구성된 명령어를 사용하여 프로그램을 작성
→ 컴퓨터 하드웨어를 직접 제어하는 방식
▶ 물리적 설정
→ 프로그램을 실행하려면 하드웨어 회로를 직접 설정
→ 명령어를 수동으로 입력
▶ 순차적 연산 처리
→ 프로그램은 하나씩 순차적으로 연산이 처리
→ 수정 시 하드웨어를 재설정해야 해서 비효율적
▶ 프로그래밍 언어 부재
→ 현대적인 프로그래밍 언어는 없음
→ 기계어를 이용해 하드웨어와 직접 상호작용
2 현재 코딩의 개념과 특징
▶ 고급 프로그래밍 언어 사용
→ Python, Java, C++, JavaScript 등과 같은 고급 언어를 사용해 사람이 이해하기 쉬운 방식으로 코드를 작성
▶ 추상화 및 패러다임 발전
→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프로그래밍 언어는 추상화된 개념을 사용
→ 객체 지향, 함수형, 절차적 프로그래밍 등 다양한 패러다임이 존재
▶ 라이브러리와 프레임워크 활용
→ 코드 작성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미리 작성된 라이브러리와 개발 프레임워크를 활용
▶ 자동화 도구와 협업 환경
→ Git과 같은 버전 관리 시스템, CI/CD 파이프라인 등을 통해 협업 및 자동화된 개발 환경이 구축
▶ 저코드/노코드 플랫폼
→ 비전문가도 프로그래밍을 할 수 있도록 돕는 도구들이 등장
▶ 오픈소스와 협업 문화
→ GitHub, GitLab과 같은 플랫폼에서 전 세계 개발자들이 협업하여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를 만들고 발전
▶ AI와 코딩의 융합
→ GitHub Copilot과 같은 AI 기반 도구가 코딩을 보조
→ 자동화된 디버깅 기능도 발전
3 코딩의 범용화
▶ 교육 분야
→ 코딩은 전 세계 교육에서 필수 기술로 자리잡고 있음
→ 초중고에서 코딩을 배우는 과정이 확대
▶ 데이터 과학과 인공지능
→ 데이터 분석과 AI 모델 구축에 필수적인 도구로 사용
좀 더 상세한 내용을 원하는 분들은 아래 링크로 접속
https://m.blog.naver.com/math717/223608073630
코딩
우리가 컴퓨터, 노트북, 휴대폰 등으로 사이트를 접속하거나 게임을 할 때 보면 보통 이것이 원래 있었다고...
blog.naver.com
'공통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프론트엔드란 무엇인가? 주요 구성 요소와 발전 (1) | 2025.03.17 |
---|---|
VSCode 설치 및 설정 가이드 (0) | 2025.03.16 |
프로그래밍 제어 구조의 기본 개념과 종류 (0) | 2025.03.08 |
소프트웨어 버전의 변화와 그 의미 (0) | 2025.03.07 |
코딩을 위한 개발 환경: IDE와 텍스트 에디터 비교 (1) | 2025.03.06 |